월백 치기.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수련입니다.
(전에 올린 사진이지만, 한 번쯤 재탕해도 괜찮겠죠)



8이란 숫자는 개인적으로 좀 애매하게 봅니다. 7은 뭔가 기분 좋은 숫자고, 9는 거의 채워진 느낌이 드는데, 8은 어딘가 미묘하게 걸쳐진 인상이 들어요. 윈도우도 7은 괜찮았는데 8은 그다지.. ..아 이런 건 상관없나.

뭐 그런 개인적인 느낌은 어찌됐건, 제가 영춘권을 배운 지도 어느덧 만 8년이 되었습니다. 8년 금방이네요. 그리고 이제 9년차가 되는.. 흠, 이렇게 말하니 뭔가 꽉 채워진 느낌이 드는군요. 충실한 기분으로 8년 수련 기념글 갑니다.


#

8년 했다고 하면 '제법 했네'라는 말을 들을 만한 기간입니다. 하지만 전 아직 예전에 친구 최모 군이 말해준 이야기를 잊지 않고 있어요. 어릴 때 시작하는 건 경력이 무섭다면서, 판소리 하는 사람이, 자기 아직 13년밖에 안 됐다고 하더라던 이야기였죠. 음, 전 그 13년이 아직도 5년 남았습니다. 지금까지도 많이 다듬어 왔는데, 5년 뒤에는 얼마나 많이 달라져 있게 될까요?

이 세계에서 10년은 우습죠. 20년 30년도 꽤 흔하고요. 저도 이왕 이 세계로 들어온 것, 계속해서 10년 20년 30년 쌓아가 보렵니다. 100년 쌓을 수 있으면 좋겠네요. (뭐 좀 오래 살아보려구요)


#

전에도 썼지만, 2레벨 테크니션으로 승급할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속해 있는 양정파 영춘권(Wing Tsun)에서, 2레벨 테크니션은 사부가 되어 자기 도장을 차릴 수 있는 레벨입니다. 심사가 언제일지는 정확히 모르겠습니다만 내년에 9년 기념글을 쓸 때에는 2레벨 테크니션이 되어 있겠지요.

실력이 되어 승급하느냐? 승급하고 나서 실력이 오르느냐? 저는 둘 다 맞다고 봅니다. 사실은 수련이란 게 항상 그렇죠. 더 고수준의 것을 배우면 이해가 달라지고 실력이 올라가지만, 그 고수준을 배우기 위한 어느 정도의 실력이 없으면 올라가는 게 불가능합니다. 말인즉슨 어느 정도 익숙해지고 잘하게 되면 더 윗단계를 추구하는 게 맞다는 거죠. 일부러 '나는 지금 이걸 완벽하게 할 거야!'라면서 윗단계로 안 올라가 봐야.. 효율도 나쁘고 사실 그다지 완벽해지기도 어렵습니다. 승급은 기회 되면 하는 게 좋은 거죠.

2레벨 테크니션과 종종 치사오를 하게 되는 1레벨 테크니션(a.k.a. 저)의 입장으로 말할 것 같으면.. 타이밍, 각도, 감각, 모든 게 저쪽이 한 차원 높아서 상대하기가 너무 피곤합니다. 2레벨 테크니션은 표지를 배웠고 저는 아직 안 배웠으니 그 차이가 심하게 나죠. 기술을 받고 경직되고 하는 일이 없이 그냥 다 흘려버리면서 계속 들어오니..

..말인즉슨 저도 2레벨 테크니션이 되면 그런 게 가능해질 테니 기대가 된달까요. 실력을 키우는 일에는 항상 관심이 많습니다. 제 도장 차리는 건 뭐.. 언젠가는 하겠지만 당장 1, 2년 안의 일일 것 같지는 않고요.


#

영춘권을 잘하려면 힘을 빼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저도 지금까지 영춘권을 배우며 계속 힘을 빼 왔지만, 아직도 모자랍니다. 큰 틀은 잡혔지만, 미세한 부분으로 들어가면 역시 멀었달까요. 그 미세한 차이가 큰 차이를 가져오기 때문에, 계속해서 잡아 나가야만 합니다.

쉽지 않죠. 힘을 뺄 수 있는 데까지 다 빼되, 자세는 지켜야 하니까요. 굳지 않으며 탄력이 있어야 하고, 언제든 양보할 수 있되 언제든 치고 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 그건 그냥 팔에 힘만 뺀다고 되는 게 아니고, 결국 전신이 다 잡혀야만 가능합니다.


#

근력운동은 하는 게 좋은가, 아닌가? 전에 어느 분이 질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근력운동을 하려면 아무래도 몸에 힘이 들어가 이완된 상태가 아니게 되는데, 근력운동이 영춘권에 방해가 되는 것은 아니냐고요.

궁금할 수 있는 부분입니다. 제 답은, 근력운동을 할 때도 몸 전체로 힘을 내는 것이 맞다는 것이었죠. 그렇게 한다면 영춘권에 도움이 된다고요.

힘을 빼고 힘을 낸다지만, 그게 물렁한 상태로 힘을 낸다는 뜻은 아닙니다. 허공에 펀치나 킥을 할 때처럼 저항 없이 사람을 때릴 수는 없습니다. 사람은 저항하고, 달려들고, 버팁니다. 나는 상대를 제어하고 싶지만, 상대도 나를 제어하려고 합니다. 그건 거칠고, 억세고, 격한 일입니다. 그 상황에서 제대로 힘을 내려면 힘이 필요합니다. 굳어 있지 않은 힘이 필요하죠. 몸 전체를 사용한, 효율적인 힘이요. 영춘권을 수련하는 건 그런 효율적인 힘을 쓰는 법을 배우는 것이죠. 그리고 그렇게 힘을 쓸 때, 단련된 근육은 기술에 무게를 실어줄 겁니다.

일반적으로 근육단련이 문제가 되는 건, 굳은 힘을 쓰는 습관을 들이기 쉽다는 데에 있습니다. 당장 내가 맞을 것 같을 때, 팔에 힘을 좀 주면 안 맞을 수 있습니다. 힘이 좀 있는 사람은 힘이 좀 없는 사람을 상대로 그게 가능하죠. 그렇게 되면 머리로는 안 그렇다고 생각해도 몸이 기억합니다: '여차하면 힘으로 때운다!' ..그럼 망하는 겁니다. 아주 망하는 거예요. 그런 습관을 들여놓으면 기술 발전이 아주 더디게 됩니다. 영춘권을 배워야 하는데 자기 힘쓰는 일을 배우니, 실력이 늘 수가 있나요. 힘이 좀 있다고 스스로 생각한다면 (이게 좀 거만하게 느껴진다면, 나 외의 다른 사람이 힘이 좀 없다고 느껴진다면 정도로 해둡시다) 그렇게 힘을 써서 막느니 차라리 그냥 맞는 게 기술 발전에는 오히려 낫다고 가슴 깊이 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

그렇다지만 사실, 저희 도장의 커리큘럼이 잘 잡혀 있어서, 승급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싫어도 자세를 가다듬고 힘을 빼게 되어 있습니다. 안 그러면 제대로 공방을 할 수가 없거든요. 그러니 꾸준히 계속 도장에 나가고 수련하면, 어느 순간에는 확연히 달라져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물론 의식을 가지고 힘을 빼는 것과, 힘을 포기하지 못하는 것에는 아무래도 차이가 있긴 합니다만.. 아무리 커리큘럼이 좋아도 수련하는 것은 결국 자기 자신이니까요.


#

더 높은 레벨의 사람과 치사오를 하면 당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입니다. 자세, 각도, 중심, 반응, 타이밍, 속도.. 모든 것이 다르죠. 하지만 '당하는 게 당연하다'고 받아들이는 가운데, '그렇지만 안 당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지' 하고 고민하는 게 중요합니다. 발전은 그런 데서 오니까요.

그렇게 나보다 잘하는 사람에게 계속 털려서 '나 실력 참 안 는다' 싶다가 어느 날 사제들과 해보면 '어 뭐지 얘네들 왤케 뻥뻥 뚫림?' 싶고 그제야 '아 실력 계속 늘고 있었구나' 하게 되는 거죠.

원래 먼저 출발한 사람을 따라잡기는 어렵습니다. 그 사람도 멈춰서 있는 게 아니니까요. 하지만 그 차이가 잘 좁혀지지 않는다 해도, 그 사람이 지나친 곳을 나도 뒤따라 지나칠 수는 있죠. 그렇게 가다 보면 내 뒤에도 사람들이 있고.. 대체로 그런 법 아닌가 싶습니다.


#

영춘권을 8년 해 오는 동안, 떠나간 사람도 있었지만, 처음 시작한 그때 함께했던 사람들이 지금도 함께하고 있다는 사실은 축복이라고 생각합니다. 중국무술에서 이 사람들을 사형제라고 부르는데, 정말 형제 같은 사이죠. 8년이면 초등학생이 대학생이 되고도 남는 시간입니다.

요즘은 다들 각자 일에 바빠져 시간을 내기 어렵지만, 그래도 끈끈함은 사라지지 않습니다. 도장이 끝나고도 모여서 막차가 끊기기 전까지 운동하고, 쉬는 날도 따로 모여서 운동해온 사이니까요. 물론 지금도 예전만큼은 아니라도 모일 수 있으면 모여서 운동하고 친교를 다집니다.

언제까지 이럴 수 있을까, 아마 나이가 들어 죽을 때까지 계속이겠죠. 죽는 순간까지 영춘권을 하지 않을까, 그리 생각합니다.

한 100년쯤 더 영춘권 하다가 가면 되겠네요. (좀 오래 살아보려구요)

Posted by Neis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