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테크니션 2에 들어서면서 (정확히는 테크니션 1 후반기 즈음부터) 하고 싶었던 움직임을 얼마 전에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능숙하게 하려면 앞으로 더 신경 써서 연습해야겠지만, 우선 어떻게 해야 그게 가능해지는지 감을 잡았다고 할 수 있겠네요. 깨달음으로 움직임이 크게 변한다는 건 다소 무협스러운 이야기라고 생각했습니다만, 실제로 깨달음을 얻고 나서의 10여분 동안 스스로 움직임이 크게 변하는 걸 느끼고 나니 그런 것도 가능하긴 한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야 지금까지도 뭔가 깨달음을 얻고 움직임이 변하는 일은 있었습니다만, 이번처럼 크게 변화한 적은 없었거든요.
물론 이건 근본적으로 동작 자체가 바뀌었다기보단, 애초에 그 동작을 할 수 있었는데 패러다임이 바뀌지 않아 스스로 가로막고 있었던 게 열렸다는 쪽에 가깝겠습니다. 그동안 쌓아온 것에 마지막 하나를 더 쌓아, 비로소 둑을 넘었다고 해도 좋겠고요. 개념을 모르고 있었던 것도 아니고, 계속해서 이걸 하고 싶었는데 어떻게 하는지를 모르고 있었던 것이었죠. 감각적으로는, 훨씬 교묘하게 쓸 수 있었던 걸 요령을 몰라 그간 좀 무식하게 운용하고 있었다는 느낌이기도 하네요. 알고 나니 너무나 당연한 것이었는데, 깨달음이란 대개 그런 법이죠.
- 이를테면 자유롭게 움직여도 그게 영춘권인 경지를 말한다면, 그건 영춘권이 녹아들었기에 아무렇게나 움직여서 형태를 무시해도 영춘권이 된다는 뜻은 아닙니다. 그건 오히려 하고 싶은 대로 움직여도 이젠 영춘권의 형태를 벗어나지 않는다는 뜻이라고 해야 옳겠습니다. 마음대로 행동해도 도덕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한다면 그건 뭘 하든 부도덕한 일을 하지 않는 사람이란 뜻과 같다고 봐야겠죠.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끝없이 자신을 살피며 수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나는 이만큼 했으니 이런 수준의 동작은 잘못하고 있을 리 없어, 라는 마음 또한 버려야 하죠. 어느 만큼 세월을 보냈건 어느 만큼 시간을 들였건 스스로의 동작에 모자란 부분을 계속 점검하고 바꿔나갈 수 있어야 합니다. "나는 그렇게 할 거야"라고 말하기는 쉬우나, 실제로 그렇게 하는 건 쉬운 일만은 아니죠. 말로는 청산유수인 사람들이야 많지만요.
- 취미생활이라는 측면에서, 무언가를 남들보다 잘하고 싶다면 일단 '계속해야 한다'는 것은 맞습니다.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여러 사람들이 떨어져 나가고, 초창기에야 자신보다 잘했을 다른 사람들은 사라지고 그 시점에서 끝나버린 사람이 되죠. 우선 계속하지 않으면 이야기가 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 단순히 계속하고 있다는 것만으로 실력이 제대로 늘지는 않는다는 것입니다. 결국 머리를 써야 합니다. 내게 지금 모자란 부분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걸 채우기 위해서는 무얼 해야 하는지, 치열하게 생각하고 신경 써서 연습하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습니다. 어쩌면 그렇게라도 일단 계속하면 결국 언젠가는 뚫릴지도 모르지요. 그러나 그런 부분에 머리를 쓰고 몸으로 수련해서 앞서 나가는 사람들은 결코 따라잡을 수 없을 겁니다. 영춘권으로 올라갈 수 있는 경지는 생각보다 훨씬 높은 곳에 있으며, 다른 사람들이 노력하는 사이 어영부영하고 있으면서 그걸 다 따라갈 수는 없습니다. 어쨌든 계속하다 보면 어떻게든 된다는 말은, 일정 수준 이상에 오른 사람이 말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말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