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춘권의 대인수련에서 치사오는 높은 비중을 갖고 있다. 치사오가 대인수련의 전부는 아니지만, 영춘권을 영춘권답게 다듬는 데에 치사오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기본적으로 치사오는 다소 약속대련의 성격을 띤다. 짜고 치는 고스톱처럼 당해주는 건 아니지만, 일단 상대가 치고 들어왔을 때는 기술을 받아주는 성격이 있다는 의미에서다.

이건 기술 향상을 위해 당연한데, 어설픈 기술을 무조건 무너뜨린다면 아직 어설픈 상태에서 그 수준을 올릴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에 따라 적절히 수준을 올려가며 받아주는 정도를 조절한다.

다만 언제까지나 지나치게 받아주기만 하는 경우로 가면, 들어가지 않을 공격을 공격이라며 하고, 들어오지 않을 공격을 받아주는 데 익숙해지는 상황이 생긴다. 그런 건 연습을 위한 연습이라고도 할 수 없으며, 연습할수록 잘못된 감각을 몸에 배게 만들 뿐이다. 결국 공격은 제대로 하고, 방어도 제대로 해야 한다. 그 강도를 조절할 뿐이다.

무술을 잘 모르는 사람의 경우, 서로 있는 대로 강하게 치는 걸 실전적이라고 여기는 일이 있는데, 그렇게 치고받는 경험 자체는 필요하지만 그걸 그리 자주 할 필요는 없다. 일단 그런 스파링이 너무 많으면 몸이 못 버티고, 그 스파링이 기술 향상에 기여하는 부분도 의외로 그리 높지 않다.

기술 향상에는 적당히 서로 아프지 않게 조절하는 스파링이 좋다. 적절한 긴장감을 주면서도, 몸을 제대로 쓰는 방법과 타이밍을 익힐 수 있다. 이런 스파링도 방법은 몇 가지가 있지만 기본은 같다. 허술하진 않지만 억지로 하지 말 것, 승패를 겨루는 게 아니라 서로 다듬는 것임을 잊지 말 것.

그런 연습으로 치사오는 매우 좋은 수련법이다. 한마디로 치사오라고 말해도 실은 치사오를 하는 방법이나 수준에서 이런저런 조절이 가능하기에, 단순한 기술연습으로부터 제법 실전적인 대련까지 가능하다. 영춘권을 절대 혼자 할 수 없는 이유 중 하나기도 하다.


덧. 치사오는 약한 것이 아니라, 강한 것이다. 딱딱하지 않고 부드러울 뿐이다. 힘을 쓰지 않지만 위력적이어야 하고, 둔하지 않지만 무거워야 한다.

Posted by Neiss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