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자들, '나쁜 기억'만 골라 지우기 성공했다
나쁜 기억만 골라 지워 주는 시대 열린다?
누구에게나 잊고 싶은 기억은 있다. 그러나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떨쳐버리려 애 쓸수록 더 끈질기게 머릿속을 맴도는 것이 나쁜 기억의 속성이다.
11일 네이처 뉴스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뉴욕대학교의 조셉 드루 교수 등 연구팀은 쥐들에게 공포의 기억 두 가지를 심어주었다. 두 가지 톤의 음악을 들려주는 동안 전기 충격을 줘서 그 음악들을 무서워하게 만든 것.
그런데 절반의 쥐에 제한적 기억 상실을 유발하는 특정 약물을 주입한 채 공포의 음악 중 하나를 듣게 했다. 그 결과 이 쥐들은 약물의 영향 아래에서 들었던 음악을 더 이상 두려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또 다른 음악에 대한 공포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는 점이 특별히 주목할 대목이다. 과학자들은 다른 기억을 놔둔 채 하나의 기억을 지우는 데 성공한 것이다.
단기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약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조셉 드루 교수 등은 다른 기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기억에만 간섭하는 것이 가능한지 알고 싶어 했고 그 실험에 성공한 것이다.
드루 교수의 이번 실험은 뇌의 편도(amygdala)의 기능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무서운 기억이 생성될 때 편도 속 뉴런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약물 투여 쥐의 경우 그 상호작용 수준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의 기억과 공포에 떠는 반응 사이의 연결을 끊는 것이 아니라 무서운 기억을 실제로 지울 수 있음을 보여준 이번 실험 결과에 대해 한 과학자는 미래 정신과 치료의 모델을 보여주는 것이라 평가했다.
이번 논문은 ‘네이처 신경과학 ’에 실렸다.
이나무 기자 (저작권자 팝뉴스)
=====================================================
제드 님의 이글루에서 나쁜 기억을 골라 지운다고?.. 라는 포스트를 보고 기사를 찾아보았습니다.
제목만 보면 이미 갖고 있는 기억 중에서 좋지 않은 기억만 골라서 제거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는 것 같지만, (적어도 기사 내용만으로는) 자세히 살펴 보면 이야기가 그리 쉽지만은 않습니다. 일단 이것이 아직 사람이 아닌 쥐에게 실험한 내용이라는 건 둘째치고, 이 나쁜 기억이라는 게 통상 말하는 나쁜 기억과는 좀 다릅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나쁜 기억이란, '음악을 들려주는 동안 전기 충격을 줘서 그 음악들을 무서워하게 만든 것'을 말합니다. 이건 그 음악 자체가 공포라기보다 음악이 들리면 전기 충격이 오는 걸 알게 되어 두려워하게 되는 일종의 학습효과입니다. 그리고 '제한적 기억 상실을 유발하는 특정 약물을 주입한 채 공포의 음악 중 하나를 듣게' 하는 것으로써 이 음악이 더 이상 두렵지 않게 했다는데, 이건 다른 의미로 생각해 보면 음악이 들릴 때에 충격이 찾아온다는 학습효과를 상실했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기억은 어떤 의미에서는 학습입니다. 그러나 저 경우의 공포의 기억이란 파블로프의 개에서 보여준 것 같은 아주 기초적인 학습이로군요. 실제 인간의 심리에 치명적 악영향을 끼칠 만한 기억은 저것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약물을 주입한 채 그 상황 (예시에서는 음악)을 반복하되 공포 (예시에서는 전기 충격)는 반복되지 않는 상황을 다시 만들어내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닐 거라는 건 저 실험을 한 과학자들도 잘 알고 있겠지요.
이건 MIB에 나오는 기억제거기와는 다릅니다. 인간의 기억 영역을 찾아내 그 중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소거하는 것이 아니라, 몸이 반사적으로 반응하게 만들어 버리는 어떠한 학습효과를 상황 재현에서 상실시키는 방법입니다. 그러니 세뇌에 악용될 수 있다거나 좋은 기억도 없앨 수 있다거나 하는 건 이 실험을 보고 도출할 수 있는 우려와는 조금 거리가 있다 싶군요. 사실 저로서는 이게 몸의 반사적인 반응을 제거하는 일로 보일 뿐, 정말 '기억'에 손대는 건지에는 글쎄요입니다. 음악이 들릴 때 전기충격이 찾아와 음악을 무서워하는 거야 그렇다 쳐도, 이를테면 살인을 눈앞에서 봤다거나 강간을 당했다거나 하는 '기억'을 저 방법으로 어떻게 제거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생깁니다.
..그리고 덧붙여 저 '약물'이 정확히 어떤 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제한적 기억 상실을 유발한다는 건 어떤 의미에서는 뇌에 손상을 가하는 것이리라고 생각하는데 이거 당연히 부작용 있지 않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결론은, 이번에도 기사 제목이 낚시다? (...)
나쁜 기억만 골라 지워 주는 시대 열린다?
누구에게나 잊고 싶은 기억은 있다. 그러나 마음대로 되지 않는다. 떨쳐버리려 애 쓸수록 더 끈질기게 머릿속을 맴도는 것이 나쁜 기억의 속성이다.
11일 네이처 뉴스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뉴욕대학교의 조셉 드루 교수 등 연구팀은 쥐들에게 공포의 기억 두 가지를 심어주었다. 두 가지 톤의 음악을 들려주는 동안 전기 충격을 줘서 그 음악들을 무서워하게 만든 것.
그런데 절반의 쥐에 제한적 기억 상실을 유발하는 특정 약물을 주입한 채 공포의 음악 중 하나를 듣게 했다. 그 결과 이 쥐들은 약물의 영향 아래에서 들었던 음악을 더 이상 두려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또 다른 음악에 대한 공포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는 점이 특별히 주목할 대목이다. 과학자들은 다른 기억을 놔둔 채 하나의 기억을 지우는 데 성공한 것이다.
단기 기억이 장기 기억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약물로 차단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미 알려져 있지만, 조셉 드루 교수 등은 다른 기억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특정 기억에만 간섭하는 것이 가능한지 알고 싶어 했고 그 실험에 성공한 것이다.
드루 교수의 이번 실험은 뇌의 편도(amygdala)의 기능에 대해서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무서운 기억이 생성될 때 편도 속 뉴런 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약물 투여 쥐의 경우 그 상호작용 수준이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포의 기억과 공포에 떠는 반응 사이의 연결을 끊는 것이 아니라 무서운 기억을 실제로 지울 수 있음을 보여준 이번 실험 결과에 대해 한 과학자는 미래 정신과 치료의 모델을 보여주는 것이라 평가했다.
이번 논문은 ‘네이처 신경과학 ’에 실렸다.
이나무 기자 (저작권자 팝뉴스)
=====================================================
제드 님의 이글루에서 나쁜 기억을 골라 지운다고?.. 라는 포스트를 보고 기사를 찾아보았습니다.
제목만 보면 이미 갖고 있는 기억 중에서 좋지 않은 기억만 골라서 제거할 수 있는 시대가 도래하는 것 같지만, (적어도 기사 내용만으로는) 자세히 살펴 보면 이야기가 그리 쉽지만은 않습니다. 일단 이것이 아직 사람이 아닌 쥐에게 실험한 내용이라는 건 둘째치고, 이 나쁜 기억이라는 게 통상 말하는 나쁜 기억과는 좀 다릅니다.
여기에서 말하는 나쁜 기억이란, '음악을 들려주는 동안 전기 충격을 줘서 그 음악들을 무서워하게 만든 것'을 말합니다. 이건 그 음악 자체가 공포라기보다 음악이 들리면 전기 충격이 오는 걸 알게 되어 두려워하게 되는 일종의 학습효과입니다. 그리고 '제한적 기억 상실을 유발하는 특정 약물을 주입한 채 공포의 음악 중 하나를 듣게' 하는 것으로써 이 음악이 더 이상 두렵지 않게 했다는데, 이건 다른 의미로 생각해 보면 음악이 들릴 때에 충격이 찾아온다는 학습효과를 상실했다는 의미입니다.
물론 기억은 어떤 의미에서는 학습입니다. 그러나 저 경우의 공포의 기억이란 파블로프의 개에서 보여준 것 같은 아주 기초적인 학습이로군요. 실제 인간의 심리에 치명적 악영향을 끼칠 만한 기억은 저것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무엇보다, 약물을 주입한 채 그 상황 (예시에서는 음악)을 반복하되 공포 (예시에서는 전기 충격)는 반복되지 않는 상황을 다시 만들어내는 것이 그리 쉬운 일이 아닐 거라는 건 저 실험을 한 과학자들도 잘 알고 있겠지요.
이건 MIB에 나오는 기억제거기와는 다릅니다. 인간의 기억 영역을 찾아내 그 중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소거하는 것이 아니라, 몸이 반사적으로 반응하게 만들어 버리는 어떠한 학습효과를 상황 재현에서 상실시키는 방법입니다. 그러니 세뇌에 악용될 수 있다거나 좋은 기억도 없앨 수 있다거나 하는 건 이 실험을 보고 도출할 수 있는 우려와는 조금 거리가 있다 싶군요. 사실 저로서는 이게 몸의 반사적인 반응을 제거하는 일로 보일 뿐, 정말 '기억'에 손대는 건지에는 글쎄요입니다. 음악이 들릴 때 전기충격이 찾아와 음악을 무서워하는 거야 그렇다 쳐도, 이를테면 살인을 눈앞에서 봤다거나 강간을 당했다거나 하는 '기억'을 저 방법으로 어떻게 제거할 수 있을지 의구심이 생깁니다.
..그리고 덧붙여 저 '약물'이 정확히 어떤 건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제한적 기억 상실을 유발한다는 건 어떤 의미에서는 뇌에 손상을 가하는 것이리라고 생각하는데 이거 당연히 부작용 있지 않을까요.
그런 의미에서 결론은, 이번에도 기사 제목이 낚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