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부님의 1인치 펀치 (촌경) 설명입니다. 저거 저 거리에서 팔 뒤로 안 빼고 그대로 쳐서 유효타 낸다는 게 정말 어렵습니다.. 보통 촌경 친다고 하는 걸 보면 살짝이라도 뒤로 뺐다가 치기 쉬운데, 그냥 훅 들어간다는 게 정말로 어려워요. 저는 저런 위력 안 나옵니다. (....) 언젠가는 충분히 강한 1인치 펀치를 치고 싶지만, 언제가 될지..
이 영상은 본래는 유튜브 비디토리의 '고수를 찾아서 2'에 뜬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JfRknJDZQ)입니다. 유튜브에 나올 건 알고 있었기 때문에 본래 영상이 뜨면 링크할 생각이었습니다만, 막상 보니 링크하더라도 채널에 직접 찾아가야만 재생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서 그냥 아무 말 않고 있었죠.. 영상 자체는 깔끔하게 나왔다고 생각합니다.
도장에서 늘 실제로 뵙는 분이긴 하지만, 영상으로 보는 느낌은 또 새롭죠. 이런 영상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친구가 리로이에 관해 이런 글을 보내주더군요.
"출시 이후 유저들의 반응은 역대급 사기 캐릭터라는 반응이 많다. 실제 무술의 특징을 반영하여 능동적인 동작보다 패링과 반격이 필드운영의 핵심인 상급자용 캐릭터일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난이도마저 엄청나게 쉬운 인파이터형 초심자용 캐릭으로 난이도 대비 성능이 가히 아케이드와 시즌1폴, 레오 그 이상이다."
글투가 어딘가의 위키백과 같은 느낌인데.. ..뭐 상관없겠죠. 리로이로 종종 놀고 있는데 꽤 재밌긴 하더랍니다. 물론 실제 영춘권하곤 당연히 다르지만요.
그나저나 영춘권에서 패링과 반격이 능동적인 동작보다 우선시된다고 생각하는 듯한데.. 실제로 싸울 때 그러면 두들겨 맞기 딱 좋습니다. 패링을 하더라도 상대로 하여금 내가 대응하기 좋게 들어오도록 유도해야지, 상대에게 주도권을 넘겨주는 건 좋지 않아요. 무엇보다도 마음이 이미 수세에 몰립니다.
뭐, 연습할 때야 좀 느긋해도 좋지만, 실제로 상대는 전혀 기다려주지 않는 데다 온갖 페이크까지 쓰니까요.. 나도 능동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면 얘기가 안 됩니다. 실력차가 현격하다면 내가 가만히 기다리고 있고 상대가 마음대로 들어와도 꽤 여유있게 대응할 수 있긴 합니다만, 그건 경험 덕분에 상대 움직임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인 거라.. 실력이 비슷하면 좀 어렵죠.
철권이 실제 격투와는 다르지만 그런 건 좀 비슷하긴 합니다. 상황을 그저 기다려선 안 되고 만들어가야 한다는 점에서 말이죠.
...사실 제가 철권 별로 잘하진 못하는 게 함정이지만요. (먼산)
그래서 조금 플레이 중입니다.
음.. 철권답게 이것저것 섞이긴 했지만, 영춘권 느낌이 나긴 하네요.
종종 재미있게 놀 것 같습니다.
얘 기술 연습할 시간에 실제 영춘권 연습하는 게 낫긴 하겠지만,
그건 그거고 이건 이거라는 기분으로.. ㅋㅋㅋ
아직 표지를 잘 쓰지는 못합니다. 자유롭게는 고사하고, 그럭저럭 괜찮다 싶게 쓰는 데에도 아마 꽤 시간이 걸릴 거라고 생각합니다. 반사적으로 동작이 나오기 위해서는 우선 동작을 반복숙달하고 의도를 갖고 일부러 쓰는 단계를 지나야만 하겠죠. 표지 기술은 기본적으로 타이밍이 소념두와 심교의 기술보다 훨씬 더 까다로운데다 간격도 좁습니다. 쉽게 쓸 수 있는 기술은 아니긴 하죠.
그래도 종종, 자유 공격에 대응할 때 의외로 나오는 일이 있어서 놀랍긴 합니다. 표지를 배운 사형이 자유 공격 대응에서 그 기술을 쓰는 게 신기했던 적이 있었는데 (저 자신은 그 당시엔 그 기술이 아무래도 나오지 않았으니까), 요즘 들어서는 저도 아무 생각 없이 그걸 쓰는 걸 발견하고 재미있어하곤 합니다.
표지는 여태까지보다 세 배로 재미있고 세 배로 힘든 느낌입니다. 어쩌면 세 배 힘들기 때문에 세 배 재미있는 걸지도 모릅니다. 또 한 차례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었다는 느낌이라, 아무튼 즐겁게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