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말한 적이 있는 것 같은데- 소념두를 해도 레벨이 오른 뒤의 소념두는 같은 소념두가 아니라고요. 향상돼서 수준이 올라가면, 동작의 세심함이 달라지고 의미가 달라집니다. 겉보기에는 같은 동작이지만, 같은 동작이라고 할 수 없지요. 물론 이 '겉보기에 같은 동작'이란 건 어디까지나 잘 모르는 사람 입장에서 같다는 것이지, 실제로 수준이 올라간 다음 보기에는 겉보기에도 이미 좀 다른 동작이긴 합니다.

도장에 다니면서 계속해서 동작을 다듬고 있습니다. 최근에 들어서 표지를 배운 영향도 있습니다만, 어쨌거나 사부님의 동작을 보면서 '어떻게 해야 저런 게 가능할까' 하는 걸 계속해서 궁리하고 있지요. 사부님이 친절하게 동작을 설명해주기도 하지만, 설명해주지 않아도 동작을 보여주는 것만으로 이미 가르쳐주시는 것이기도 합니다. 사부님과 저와는 분명히 뭔가 차이가 있는데, 그게 '무엇'인지 알아내는 게 또 중요한 부분입니다. 캐치해서, 연습해서, 저도 조금씩이나마 따라갈 수 있도록 해야죠.

집에서 수련하는 메뉴 자체는 크게 바뀌지 않았습니다. 늘 하던 것들입니다. 스트레칭, 가벼운 몸풀기 운동, 투로, 보법, 펀치, 킥.. 흰티를 갓 입었던, 수련생 0레벨 시절부터 해 오던 것들이죠. 하지만 그때의 수련과 지금의 수련은 분명 의미가 다릅니다. 동작에 담겨진 의미가 다르고 각도나 중심의 섬세함이 다릅니다. 같은 것이지만, 같은 것이라고 말하기 어려운 것이죠.

어떻게 하면 더 잘할 수 있을까? 어떻게 하면 더 빨라질 수 있을까? 더 무겁게, 하지만 더 가볍게, 더 강하게, 하지만 더 부드럽게. 연습하다가 횟수를 채우는 데 정신이 팔리는 경우가 전혀 없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가능한 한 동작 하나하나에 주의를 기울여 연습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잠깐 소홀해지면 어딘가 뒤틀어지기 마련이라..

뭐, 쉽지는 않습니다만, 여전히 즐겁습니다. 그건 꾸준히 수련하는 데에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Posted by Neissy
개인적으로 여러 무술을 동시에 배우는 걸 싫어하진 않지만, 그렇다고 딱히 추천하지도 않습니다. 물론 그건 뭔가 하나를 하면, 그 하나만 죽자고 파고드는 걸 좋아하는 제 성향 탓이 크긴 합니다. 어차피 취미인 이상, 좋아하는 대로 즐기는 법이니까요. 다만 일반적인 취미로서 볼 때, 한 가지 무술을 제대로 연습할 시간을 내기만도 빡센 상황에서 두세 가지를 연습하기란 쉽지 않고, 결과적으로 좀 이도저도 아닌 연습을 하게 되기 쉬우리라는 생각을 하긴 합니다.

사실은 늘 그게 문제죠. 취미로 무술하는 사람인지라, 체력이나 시간이 문제가 돼요. 영춘권이 사람을 상대하는 감각을 중시하긴 합니다만, 그렇다고 해서 혼자서 연습하는 시간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닙니다. 도장에서 더 잘 수련하기 위해서는 결국 집에서 연습하고 오는 게 필요합니다. 도장에서 기본기 단련을 하진 않으니까요. (아 뭐 가끔 하긴 하는데.. 그건 이런 식으로 연습해야 한다!는 맛보기지 그걸로 연습 충분하다!는 아니라고 보거든요)

예전에 잠깐, 영춘권을 하면서 유도도 배운 적이 있었는데.. 꽤나 흥미로운 경험이었습니다만, 역시나, 돈과 시간과 체력이 문제가 되었습니다.. 영춘권도 유도도 둘 다 성에 차게 연습할 수는 없었어요. 제 상황에서 둘 다 할 수는 없었고, 결국 유도는 금방 그만두었습니다. 뭐, 짤막한 경험이었지만 나름 재미있는 일들이 있었어서, 기회가 된다면 유도든 다른 무술이든 뭐든 또 경험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은 합니다만 .. 역시 지금은 영춘권만 하기도 벅차서요. 영춘권만 해도 갈 길이 멀고.

타무술을 배워서 내가 지금 배우는 무술의 단점을 보완한다! 라는 게 있는데, 그게 틀린 건 아니지만 꼭 반드시 그렇게 해야만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대로 배우는 무술이라면, 무술 체계 내에 그 무술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는 전법 자체가 들어있다고 봐요. 영춘권 거리 짧은 거야 아는 사람은 다 아는 겁니다만, 그럼 멀리서 때리고 빠져나가는 상대한테 얌전히 맞아주냐? 하면 또 그건 아니거든요. 순간적으로 달라붙고, 상대가 빠져나가도 계속해서 따라붙는 법도 배웁니다. 그건 스텝으로 빠져나가는 다른 무술을 상대할 때 중요한 부분이죠.

영춘권 내에서도 이것저것 대응법이 있어서 (그래플링 대항도 일단 있습니다), 배우다 보면 재미있습니다. 전에 사부님 말씀으로 무술은 쓰기 위해서는 계속 업데이트돼야 한다고 하셨는데, 초기의 영춘권에는 없던 것이라도 나중에 생겨나 영춘권식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된 것일지도 모르긴 합니다. 필요하죠, 그런 거.

위에서 유도 배운 이야기를 잠깐 했는데, 유도를 배워서 영춘권에 이런 걸 보완하자! 는 생각을 했다기보단 영춘권으로 유도 같은 무술을 더 잘 상대하려면 역시 배워보는 게 괜찮지 않을까! 한 쪽에 가깝습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무술덕후다 보니 그냥 뭔가 배우는 거 자체가 재미있기도 했고요. 기회만 된다면야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무술을 경험해보고 싶다는 게 솔직한 심정입니다.

다만, 전 영춘권을 제일 좋아하고, 역시 영춘권으로 강해지고 싶습니다. 이미 제 몸엔 영춘권이 배어 있기도 하죠. 다른 무술을 경험한다고 해도 그걸 다른 무술로서 온전히 쓰고 싶기보단 영춘권적으로 어떻게 이걸 상대할 수 있을까에 더 초점이 갈 것 같습니다. 어쩔 수 없어요. 영춘덕후인걸요.
Posted by Neissy

10년 전에 샀던 뱀부 펀이 죽는 바람에 인튜어스(소형)을 샀습니다. 그냥 타블렛 없이 살까 했는데 이게 또 있다가 없으면 아무래도 불편해서.. 새 타블렛에 익숙해질 겸, 오랜만에 그림도 그려보았습니다. 본격적으로 그리면 힘드니까 적당히 그렸습니다. 뱀부 펀은 필압이 512였는데 이건 4096이라 뭔가 더 섬세하긴 하네요. 하긴 뭐 10년이면 강산도 변하고 그러니까..

Posted by Neissy

어제 하늘

오리지널/사진 2019. 6. 17. 00:45

 

 

어제 집앞 하늘이 예뻐서 몇 장 찍었더랬습니다.

 

+ 아내님이 찍어준 제 사진

여전히 사진은 거의 인스타에 올립니다. 사진 취미가 본격화되면서 적당히 분화됐네요.

Posted by Neissy